이번에 다룰 시는 강은교의 '우리가 물이 되어'입니다.
시에 제목에 명시적으로 드러나 듯 이 시는 물이 되고 싶다는 화자의 바램을 나타내는 시인데요. 물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주목하며 시를 읽은 후 해석을 보도록 합시다.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 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 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시는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나는' 상황에 대한 가정으로 시작합니다.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나면 생명력을 잃은 사회가 회복해서 죽어가는 것들의 생명력을 회복시키고 진정한 삶을 되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강이 되어 만나 바다에 닿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그러나 화자의 바램과는 달리 현재 사회는 파괴와 죽음이 가까워 위기에 차 있습니다. 화자는 이러한 시간을 넘어 다시 물로 만나 모든 것이 융화된 새로운 이상향을 향하기를 소망하며, 삶에 대한 긍정과 희망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에서는 '완전한 합일과 생명력이 충만한 세계에 대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하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타너스 - 김현승 ,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2.03.13 |
---|---|
봄은 고양이로다 - 이장희,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1) | 2022.03.09 |
향현(香峴) - 박두진 ,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2.03.05 |
한계령을 위한 연가 - 문정희,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2.03.05 |
우포늪 왁새 - 배한봉,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