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 다룰 작품은 4구체 향가인 '서동요'입니다. 백제 30대 무왕의 이야기로도 유명한 서동요는 있지도 않은 사실로 남을 헐뜨는 노래의 성격을 지녔는데요. 어떤 사실로 남을 헐뜯고 있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결혼하고

맛둥서방을

밤에 몰래 안고 가다

 

- 서동, 「서동요(薯童謠)」


네. 서동요를 보면 '선화공주'를 헐뜯고 있는데요. 한 나라의 공주가 남 몰래 결혼해 밤에 몰래 서방을 안고간다는 것은 당시 사회로 보면 상당히 문제되는 일이었습니다. 왜 이런 노래가 나왔는지를 서동요가 창작된 배경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창작배경//

서동은 백제 30대 무왕의 아명이다. 어릴 때 그 모친이 서울 남쪽의 못가에 집을 짓고 살던 중, 그곳의 용의 아이를 가져 낳은 아들로서 마를 캐어 팔아서 생활을 하였으므로 '서동(맛둥)'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서동은 신라 진평왕의 셋째 공주인 선화의 아름다움을 소문으로 듣고 머리를 깎고 서울로 가서는 마를 공짜로 나누어 주어 아이들과 친분을 쌓은 후 이 노래를 지어 아이들에게 부르게 하였다. 이로 인하여 공주는 궁궐에서 쫓겨나게 되었고, 귀양처로 가는 공주를 서동이 도중에 나와 맞이하여 아내로 삼았다. 이후, 서동이 집 근처에서 발견한 금을 진평왕에게 보내어 사위로서 인정받게 되고, 차차 인심을 얻어 백제의 왕위에 올랐다.

 

창작배경을 볼 때 이 작품은 있지도 않은 사실로 선화공주를 헐뜯어 서동과 선화공자가 인연을 맺을 것을 예언한 참요로 볼 수 있으며 서동이 선화공주와 결혼을 위해 앞으로 일어나기를 바라는 일을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노래한 작품입니다.

 

그래서 이 작품은 노래 자체에 충실할 경우 "선화공주의 은밀한 사랑"을 주제로 배경 설화로 볼 때는 "선화 공주에 대한 (서동의)연모의 정"을 주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은 4구체 향가인 도솔가입니다. 도솔가의 '도솔'은 불교에서 '미륵'을 가리키는 말로 '도솔가'는 '미룩에게 소원을 비는 노래'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화자가 미륵에게 어떠한 바램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읽고 해석을 통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오늘 이에 산화(散花) 불러

솟아나게 한 꽃아 너는,

곧은 마음에 명(命)에 부리워져

미륵좌주(彌勒座主) 뫼셔 나립(羅立)하라

- 월명사, 「도솔가(兜率歌)」


도솔가는 '오늘 이에 산화를 불러'로 시작합니다. 여기서 지칭하는 '이에'는 도솔가의 배경설화를 알아야 하는데요. 도솔가의 배경설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신라 경덕왕 19년 4월에 두 해가 나타나 10여 일간 사라지지 않는 변괴가 일어나자, 일관(日官)이 인연 있는 스님을 청해서 산화공덕을 지어야 해의 괴변을 물리 칠 수 있다고 아뢰었다. 이에 왕이 단을 만들고 행차하여 인연 있는 중을 기다렸는데, 그때 마침 월명사가 지나가고 있었다. 왕이 그를 불러 단을 열고 기도문을 짓게 했다. 월명사가 '도솔가'를 지어 부르고 얼마 되지 않아 해의 괴변이 사라졌다고 한다.

이 배경설화에 따르면 '이에'는 '하늘에 두 해가 나타나는 변괴가 생긴 일인데요' 이를 보고 월명사는 두 해가 나타난 변괴를 해결하기 위해 미룩보살을 모셔오라고 하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이 작품은 '미륵 신앙을 통한 나라와 백성의 안정'을 노래하고 있는데요. 이를 꽃을 의인화하여 화자의 염원을 알리고 명령법을 사용해 화자의 소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작품을 다시 읽으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인 매화사에서는 매화를 인격화하여 화자가 느끼는 정신적 가치에 대해 노래하고 있습니다. 총 8수로 된 작품 내에서 화자는 매화를 보고 어떤 가치를 느끼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 보도록 합시다.



 

이 작품은 전체적에서 화자는 겨울 추위에 굴하지 않고 어김없이 피는 매화의 지조 있는 모습을 예찬하고 있는데요. 매화를 '너'라고 부르며 인격화아여 예찬하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그럼 1수부터 내용을 봐보도록 하겠습니다.

1수에서는 매화와 함께하는 풍류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매화 그림자가 미친 창가 금비녀를 곶은 미인, 두어 명의 머리 흰 노인이 등장하며 술잔을 들어 권하려 할 때 달이 떠오리는 모습이 제시됩니다.

2수에서는 매화의 지조에 대한 경탄이 드러납니다. 처음에 화자는 매화가 어리고 엉성한 가지를 가져 꽃을 피울 수 있을 까 의구심을 가졌지만 매화는 약속을 지켜 두 세송이 꽃을 피워냅니다. 그래서 가까이 갈 때 암향이 떠도는데 이는 매화의 향기 그리고 매화가 가진 지조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3수에서는 매화의 아름다움과 절개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초장에서는 매화의 외면적인 아름다움이 그리고 종장에서는 매화의 내면적인 아름다움이 드러나며 매화가 지닌 아름다움과 절개를 말하고 있습니다.

4수에서는 2수와 연관하여 매화와 함께하는 즐거움이 드러납니다. 약속을 지켜 피어난 매화와 달밤의 분위기가 나타나며 매화와 함께 흥취를 즐기려는 화자의 마음이 드러납니다.

5수에서는 매화와 달이 조화를 이루는 모습이 드러납니다. 종장에서 화자는 매화와 달이 벗이 되는줄 몰랐던가 하노라라며 매화와 달이 서로 어울리는 자연물임을 드러내줍니다.

6수에서는 시련에도 지지 않는 매화의 굳은 지조가 나타납니다. 바람과 찬 기운이 불지만 매화는 지지 않고 봄뜻을 지켜냅니다. 화자는 이러한 매화의 지조를 '~소냐'의 설의법을 통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7수에서는 늙은 매화나무의 굳은 의지를 보여줍니다. 초장에서 나오는 울퉁불퉁한 광대 등걸은 고목의 등걸이를 뜻하는 데 이는 늙어서도 고결함을 잃지 않는 선비를 상징합니다. 그러기에 지조와 절기를 가지고 꽃을 다시 피우며 봄기운을 알려줍니다. 7수는 형태적으로 사설시조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소재도 나머지 내용과 달리 광대 등걸이라는 외부의 사물을 사용한 점이 특이점이 있습니다.

8수에서는 다른 꽃과 다른 매화의 남다른 지조를 보여줍니다. 다른 꽃들이 따뜻하고 안전한 곳에서 피어날 때 매화는 추위에 굴하지 않고 피어나 봄소식을 알려줍니다. 이러한 모습을 설의적 표현(~피리, ~뉘 있으리)을 통해 강조하며 매화의 남다른 지조에 대해 강조합니다.

이렇게 해서 이 작품은 '매화의 지조와 절개'를 예찬하는 데 매화를 의인화하여 눈과 추위속에서 꽃을 피우는 모습을 통해 선비가 지향해야할 삶의 자세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은 박인로의 '조홍시가'입니다. 이 작품은 홍시를 보고 쓴 작품으로 어머님에 대한 그리움을 담고 있는데요. 홍시를 통해 어떻게 어머니를 떠올리며 그 마음이 어떻게 이어지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이 작품은 작가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에 실려있는 작품으로 효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제1수에서는 화자는 쟁반에 담긴 홍시를 보고 이를 가져가도 반가워할 어머니가 계시지 않은 현실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이때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육적회귤'의 고사를 이용해서 강조하고 있느넫요. 육적회귤의 고사는 '중국 오나라의 육적이 원술의 집에 갔다가 귤을 대접받고 어머니를 드리기 위해 귤 세 개를 품에 품고 나왔다는 고사로,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성을 의미하는 고사입니다. 이런 고사를 활욜해 홍시를 보고 돌아가신 부모님을 떠올리는 작가의 효심을 강조하느 것이죠.

.

제2수에서는 왕상, 맹종, 노래자, 증자 등의 고사를 인용해 1수에 이어서 효를 더욱 강조하고 부모님께 효도하고자 하는 마음을 드러내며 효의 지평을 역사적 차원까지 확대하고 있습니다. 효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고사를 인용해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게 특징적인 부분입니다.

제3수에서는 상상력을 통해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며 부모님이 늙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부모님이 늙어가는 것이 안타까우니 시간을 더디게 흐르게 만들어 부모의 장수를 기원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제4수에서는 까마귀를 등장시켜 ‘효’의 공동체적 가치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봉황과 까마귀에 대해 의아할 수 있지만 반포지효(反哺之孝-까마귀는 부화한 지 60일 동안은 어미가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지만 이후 새끼가 다 자라면 먹이 사냥에 힘이 부친 어미를 먹여 살린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 까마귀를 자오(慈烏:인자한 까마귀) 또는 반포조(反哺鳥)라 한다. 곧 까마귀가 어미를 되먹이는 습성을 반포(反哺)라고 하는데 이는 극진한 효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연유로 반포지효는 어버이의 은혜에 대한 자식의 지극한 효도를 뜻한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라는 성어에서 알 수 있듯이 까마귀는 동아시아의 문학 관습에서 효도를 상징하는 새로 규정되는데, ‘효’의 가치가 매우 중요하므로 까마귀가 봉황의 무리에 들어가 어울릴 수 있을 만큼 귀한 존재로 평가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 작품은 '효'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역사적, 사회적으로 또한 인간적 차원을 넘어 자연물까지 해당하는 규범이자 보편적 가치임을 표현하며 '부모에 대한 효심과 봉양의 의지'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작품에 쓰인 표현법과 시구의 의미를 다시 보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글을 쓰고 보니 풍수지탄이란 말이 절로 떠오릅니다. 이 글을 읽는 학생들도 공부가 끝난 후 부모님에 대해 생각한는 시간을 보내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은 어느 행상인의 아내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정읍사'입니다. 여느 고대가요가 그렇듯 정읍사에도 배경설화가 있는데요. 정읍사의 배경설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정읍은 전주현에 속한다. 전주현 사람 하나가 행상을 떠난 후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자, 그의 처가 산에 올라 멀리 있는 남편을 생각하며 남편이 밤에 다니다가 해를 입을까 두려워하며 진흙물에 빠지는 것에 비유하여 노래를 불렀다 한다. 이 여인이 기다렸던 바위를 사람들은 망부석(望夫石)이라고 불렀다."

 

이런 배경설화에서 알 수 있 듯 이 작품은 행상을 떠난 후 돌아오지 않는 남편에 대한 걱정이 드러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작품을 읽은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정읍사는 달에게 하는 기원으로 시작합니다. '달'은 화자가 소원을 비는 대상으로 기원하는 대상이며 초월적인 존재입니다. 달이 높이 떠 빛을 비추어 어두운 밤 남편이 무사하길 빌고 있는 것이죠.

 

뒤이어 나오는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는 의미없는 소리로 리듬을 주기 위해 쓰인 여음구와 후렴구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이 작품이 실제로 노래로 불리어졌음을 알게 해주는 대목입니다.

 

그리고 화자는 남편을 걱정합니다. 즌데는 '험한 곳 또는 진 곳'으로 남편이 직면할 수 있는 부정적 상황을 의미하는 데 이 부정적 상황을 해석에 따라 남편이 잘못딛어 다칠 수 있는 곳, 남편을 유혹하는 곳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렇게 화자는 남편에 대해 걱정하며 어느 곳에든 짐을 내려놓고 빨리 돌아오길 바라며 남편이 가는 데 날 이저물까 두려우니 빨리 돌아오라는 기원을 남기고 있는 것이죠.

 

이렇게 이 작품은 기원과 걱정 기원의 구조로 '남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는 화자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작품을 다시 보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은 고대가요인 구지가와 해가입니다. 두 작품 모두 거북이와 위협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작품들인데요. 작품을 감상한 후 배경설화와 함께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라.

내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구간 등, 「구지가(龜旨歌)」


구지가의 배경설화는 이렇습니다.

"옛날 구지봉이란 산이 있었고 거기에 왕이 내려오리라는 계시가 있었다. 이에 수많은 군중이 임금인 수로왕을 맞이하기 위해 구지봉에 모여 흙을 파서 모으고 춤을 추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배경설화를 봤을 때 거북이는 신령스러운 존재나 초자연 스러운 존재로 이러한 신령스러운 존재에게 '머리를 내어라'라며 우두머리를 내어놓으러고 합니다. 이 때 머리는 수로왕의 '수(首-머리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그런 후 내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는다는 위협(?)을 통해 바라는 바(왕을 얻는 것)를 반드시 이루려는 주술적인 표현으로 마무리 합니다.

 

이렇게 '왕의 강림을 기원'하는 작품이 구지가인데요.

 

같은 고대가요인 해가에서도 비슷한 형식이 보여집니다.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남의 아내 앗은 죄 얼마나 클까

네 만일 거역하고 바치지 않으면

그물로 잡아내어 구워서 먹으리라.

 

- 작자미상, 「해가(海歌)」


해가는 바다의 노래라는 뜻으로 '바다'는 이 노래가 불리는 공간적 배경이거나 중심 소재임을 알 수 있는데요. 이는 배경설화를 보면 더욱 명확해 집니다. 해가의 배경설화는 이렇습니다.

"신라 성덕왕 때에 순정공이 강릉 태수로 부임할 때, 바닷가 입해정에서 점심을 먹었다. 그런데 문득 바다의 용왕이 나타나 순정공의 부인인 수로 부인을 끌고 바다 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한 노인이 공에게 인근의 백성들을 모아 노래를 지어 부르고, 막대기로써 언덕을 치면 부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하엿다. 공이 이렇게 하였더니, 용이 부인을 받들고 나와 도로 바치었다고 한다"

 

이 내용으로 봤을 때 '수로를 내놓아라'에서의 수로는 수로부인으로 남의 아내를 앗을 죄에 대해서 물으며 책명하고 가정의 상황을 통해 위협으로 직접적으로 명령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의 위협의 부분은 구지가와 매우 유사해 '구지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해서 해가는 '빼앗아 간 부인을 되돌려 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두 작품의 전문해석을 보며 학습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은 윤선도의 '견회요'입니다. 이 작품은 윤선도가 권신 이이첨의 회포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입니다. 유배지에서 쓴 글에서 화자가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전체적인 내용은 강직한 삶의 자세와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충성심, 그리고 부모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이 드러나 있습니다.

먼저 1수에서는 화자의 강직한 성품이 드러납니다. 어떤 상태이든지 자신의 소신을 지키고 자신이 할 일만 갈고 닦으며 그 밖의 일이야 생각하지 않는다는 그의 신념이 드러납니다. 그야말로 신념에 충실한 삶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이 작품은 유배를 가서 쓴 작품이라고 했죠? 그래서 화자는 자신의 결백을 주장합니다. 결백을 주장할 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그 마저도 임을 위한 것이였다고 호소하고 있는 것이죠. 이렇게 2수에서는 자신의 충성심과 결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시냇물에 감정을 이입해서 자신 역시 그 와 같이 임을 향한 일편단심이 그칠 지를 모른다며 충성심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4수에서는 산과 물을 통해 머나먼 유배지로 떠나는 심정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에 대한 그리운 마음을 말하며 외기러기에 감정을 이입해 슬픔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5수에서는 4수에서 부모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낸 것을 임금을 향한 충정과 연관시켜 부모 자식 사이의 정과 마찬가지로 임금과 신하의 관계도 하늘이 정해 준 것임을 나타내며 임금에 대한 충정을 나타냅니다. 그렇게 해서 충과 효의 일치에 대한 꺠달음을 드러냅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는 유배지에서 느낀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우국충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다시보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은 이신의의 「단가육장」입니다. 「단가육장」은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파가 영창 대군의 어머니인 인목 대비를 유폐하자는 의론을 제기하자 강직한 태도로 이에 반대하는 글을 올려 유배를 간 귀양지에서 창작한 작품으로 추정되는데요. 귀양지에서의 고달픔을 제비나 명월 등의 자연물을 통해 잘드러내고 있을 뿐 아니라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정도 표현하고 있습니다. 본문을 읽은 후 해석을 통해 각 연의 의미를 살펴보며 학습하도록 합시다.


 

 

 


그럼 이제 작품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1장에서는 장부로서 해야할 일에 대해 청명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장부의 호올 사업 아는가 모르는가의 물음을 통해 자신이 한 일이 당연히 해야할 일임이라는 당위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이는 작가의 충직했던 삶의 태도가 드러나는 것으로 ‘효제충신’ 즉, 부모에 대한 효도, 형제 사이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정, 벗 사이의 신뢰를 강조하며 이를 중요시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2장에서는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인재 복귀에 대한 희망이 드러납니다. 남산에 많던 솔 즉, 나라의 재목, 충신들이 강직한 태도를 보이다 정치적 시련을 당한 후 많이 사라진 것에 대한 정치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도 작가는 우로(임금의 은혜)가 곧 깊으면 다시 볼까하노라며 동료들의 복귀에 대한 희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3장에서는 귀양살이의 처량한 신세 한탄이 드러납니다. 귀양지에서 자유롭지 못한 화자와 달리 자유롭게 나는 제비를 보며 화자는 시련이 깊어가고 자신의 삶에 대해 성찰하며 날라가는 제비를 보며 한숨지으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냅니다.

 

4장에서는 귀양살이의 시름이 드러나는데요. 4장에서의 제비는 3장과는 다르고 화자가 시름을 플어내는 대상으로 화자는 이 제비에게 감정이입을 해 자신의 시름을 표현합니다.

5장에서는 귀양살이를 하는 화자의 외로운 처지가 드러납니다. 명월 밖에 벗이 없다고 표현하며 천리를 멀다 않고 가는 것은 명월뿐이라며 반가운 옛 벗이 오직 명월 뿐이라고 하지만 이는 역으로 화자가 그만큼 외로운 처지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6장에서는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정이 드러납니다. 매화는 지조와 충성을 드러내는데요. 매화를 보러 창문을 열어본다는 것은 자신의 충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거기에 잦는 것이 향기고 강한 지조와 충절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호접(임금)이 이 향기를 알며 괴로울까 걱정하며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정을 강조하며 작품이 마무리합니다.

 

이렇게 해서 이 작품은 ‘귀양살이의 고달픔과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해설을 다시보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