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다룰 시조 2편에서는 '까마귀'를 통해 서로 다른 메시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각각 작품에서 까마귀를 어떤 대상으로 인지하는지에 중심을 두고 작품을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현대어 풀이까지 해서 읽어보면 위의 작품에서는 까마귀를 일반적인 인식과 같이 부정적으로 백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아래에서는 반대로 까마귀를 긍정적으로 백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은 정몽주의 어머니가 '까마귀'와 '백로'를 대조하여 자식과 현실에 대한 걱정을 노래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연물을 통해 우의적으로 인간사에 대해 경계하는 이 작품에서는 일반적인 인식과 비슷하게 까마귀를 부정적인 대상으로 백로를 긍정적 대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군자의 도리와 절의에 대해 당부하고 있습니다.(까마귀와 백로는 당시 상황에 대입해보면 각각 이성계 일파와 정몽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직의 작품에서는 까마귀에 대해 완전히 다른 인식을 보이는데요. 까마귀를 겉과 속이 같은 대상 백로를 겉은 희지만 속은 바르지 못한 대상으로 표현하며 '까마귀'와 '백로'를 대조하여 사람은 겉만 보고 평가하지 말고 속까지 봐야하며, 겉은 훌륭해도 속이 검은 사람이 있음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즉, 표리부동을 경계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인식과 다르게 까마귀를 긍정적 대상으로 백로를 부정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합해보면 두 작품은 대조적인 자연물을 통해 현실에서 경계할 것에 대해 우의적으로 표현한 작품이지만 대조하는 자연물에 대해서는 각각 다른 인식을 보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전문해석을 통해 다시 한 번 작품을 감상한 후 학습을 마무리해 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 짧은 다리~,풍상이 섯거 친 날에~, 내 마음 버혀 내어~ (0) | 2025.01.12 |
---|---|
어져 내 일이야~/동지달 기나긴 밤을~/내 언제 신이 없어 / 산은 옛 산이로되 / 청산은 내 뜻이오~ - 황진이,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황진이 시조 모음) (0) | 2025.01.09 |
수양산 바라보며~ / 이몸이 주거 가셔~ - 성상문,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5.01.09 |
이화에 월백하고~ , 추강에 밤이 드니~ - 해석 / 해석 / 분석 / 정리 (0) | 2025.01.09 |
농가(農歌) - 위백규,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1)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