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향이란 많은 사람들에게 언제든 돌아갈 곳이라고 인식되곤 합니다.

이번에 다룰 시 '거제도 둔덕골'에서도 화자는 고향을 언제든 돌아갈 곳이라고 인식하는데요. 화자가 말하는 고향의 모습과 살고자 하는 삶의 방향에 대해 생각하며 시를 읽고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거제도 둔덕골은

팔대(八代)로 내려 나의 부조(父祖)의 살으신 곳

적은 골 안 다가솟은 산방(山芳)산 비탈 알로*

몇백 두락 조약돌 박토를 지켜

마을은 언제나 생겨난 그 외로운 앉음새로

할아버지 살던 집에 손주가 살고

아버지 갈던 밭을 아들네 갈고

베 짜서 옷 입고

조약(造藥) 써서 병 고치고

그리하여 세상은

허구한 세월과 세대가 바뀌고 흘러갔건만

사시장천 벗고 섰는 뒷산 산비탈 모양

두고두고 행복된 바람이 한 번이나 불어왔던가

시방도 신농(神農) 적 베틀에 질쌈하고

바가지에 밥 먹고

갓난것 데불고 톡톡 털며 사는 칠촌 조카 젊은 과수 며느리며

비록 갓망건은 벗었을망정

호연(浩然)한 기풍 속에 새끼 꼬며

시서(詩書)와 천하를 논하는 왕고못댁 왕고모부며

가난뱅이 살림살이 견디다간 뿌리치고

만주로 일본으로 뛰었던 큰집 젊은 종손이며

 

그러나 끝내 이들은 손발이 장기처럼 닳도록 여기 살아

마지막 누에가 고치 되듯 애석도 모르고

살아생전 날 세고 다니던 밭머리

부조의 묏가에 부조처럼 한결같이 묻히리니

 

아아 나도 나이 불혹(不惑)에 가까웠거늘

슬플 줄도 모르는 이 골짜기 부조의 하늘로 돌아와

일출이경(日出而耕)*하고 어질게 살다 죽으리

 

-유치환, 「거제도 둔덕돌」

 

* 알로: ‘아래로’의 사투리.

* 일출이경: 해가 뜨면 나가서 밭을 간다는 뜻.


1여에서 화자는 둑덕골에서 여러대에 걸쳐 지속되어 온 가난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상 대대로 살아온 둑덕골이지만 사실 묘사된 모습을 보면 아름다워 보이지는 않습니다. '조약돌 박ㅌ토'에 '행복된 바람'이 한 번도 불어온 적 없을 만큼 가난한 마을로 마을 사람들 모두 누추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공간이죠. 심지어 1연의 마지막에는 종손이 만주와 일본으로 뛰었다는 표현으로 둔덕골의 척박한 환경을 드러냅니다.

 

2연에서는 이렇게 누추한 삶을 살 던 사람들이 결국 자신의 조상들처럼 바로 그 땅에 묻히는 모습을 보여주며 미래에도 계속될 둔덕골에서의 삶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3연에서 화자는 마흔 살이 가까운 자신의 삶을 생각하며 자연의 순리에 따라 살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고향 땅에 돌아와 해 뜨면 나가서 밭을 가는 소박한 삶을 살고자 합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는 '고향인 둔덕골에서 가난하지만 어질게 살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 시를 학습할 때 혼동하지 말아야할 것은 고향인 둔덕골에 대한 묘사는 부정적인 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며 화자는 이 또한 받아들이고 안분지족의 삶을 살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 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의 제목은 '산문에 기대어'입니다. '산문'은 '절의 바깥문'을 의미하지만 이 시에서는 이승과 저승을 구분하는 문이라는 의미도 함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산문은 이승과 저승의 경계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화자가 이승과 저승의 경계에 기대어 있는 이유에 대해 생각하며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누이야

가을 산 그리매*에 빠진 눈썹 두어 낱을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정정(淨淨)한 눈물 돌로 눌러 죽이고

그 눈물 끝을 따라가면

즈믄 밤의 강이 일어서던 것을

그 강물 깊이깊이 가라앉은 고뇌(苦惱)의 말씀들

돌로 살아서 반짝여 오던 것을

더러는 물속에서 튀는 물고기같이

살아오던 것을

그리고 산다화(山茶花) 한 가지 꺾어 스스럼없이

건네이던 것을

 

누이야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가을 산 그리매에 빠져 떠돌던, 그 눈썹 두어 낱을 기러기가

강물에 부리고 가는 것을

내 한 잔은 마시고 한 잔은 비워 두고

더러는 잎새에 살아서 튀는 물방울같이

그렇게 만나는 것을

 

누이야 아는가

가을 산 그리매에 빠져 떠돌던

눈썹 두어 낱이

지금 이 못물 속에 비쳐 옴을

 

-송수권, 「산문에 기대어」

 

*그리매 : 그림자


시는 '누이야'라고 하며 누이에게 말을 건네는 형식으로 전개됩니다. 이후의 화자의 말을 들어보면 누이가 죽은 상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누이가 죽은 상황에서 화자는 가을산이 강물에 비치는 모습을 통해 누이에 대한 인상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누이에 대한 인상을 구체화하며 누이를 그리워하며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가라앉히고자 노력하며 슬픔을 만남에 대한 기대로 승화시킵니다. 그리고 누이와의 만남을 소망합니다. 앞서 시의 제목인 '산문에 기대어'와 연관하여 왜 화자는 이승과 저승의 경계에 기대어 있는지에 대한 답이 이제 제시됩니다. 화자는 죽은 누이와의 만남을 소망하기에 이렇게 이승과 저승의 경계에 기대어 이를 뛰어넘어 누이와 다시 재회할 것을 소망하고 있는 것이죠.

 

2연과 3연에서는 1연의 내용이 비슷하게 반복됩니다. 이 시의 특징 중 하나는 '누이야, ~가, ~을'이라는 구조와 '도치법'의 반복인데 이러한 반복을 통해 누이에 대한 그리움과 재회외의 소망을 강조합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는 '누이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재회에 대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시구의 의미를 다시 살피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 '봄비'에서는 비가 그친 후 올 봄날의 정경을 상상하면서 시상이 전개됩니다. 화자의 심리와 화자가 상상하는 풍경에 주목하여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이 비 그치면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오것다.

 

푸르른 보리밭길

맑은 하늘에

종달새만 무어라고 지껄이것다.

 

이 비 그치면

시새워 벙글어질 고운 꽃밭 속

처녀애들 짝하여 새로이 서고,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香煙)과 같이

땅에선 또 아지랑이 타오르것다.

 

-이수복, 「봄비」


시는 화자의 가정으로 시작합니다. 이 빔 그치면...즉, 봄비가 그치게 되면 화자의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이 짙어오것다라고 하는데요. 자신의 마음을 서러운 풀빛이 짙어지는 것으로 구체화하는 것을 통해 화자는 지금 슬픔의 정서를 느끼고 있으며 화자가 처한 상황 역시 좋지 않을 것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또한 이부분은 정지상의 한시 「송인」의 첫 행인 ‘비 갠 긴 둑 위에 풀빛이 짙어 가는데(雨歇長堤草色多)’를 차용하여 애상감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2연에서는 이런 자신의 마음과 대조되는 봄날의 아름다운 풍경이 제시됩니다.푸르른 보리밭길, 맑은 하늘에 지저귀는 종달새는 봄의 생명력을 보여주며 이는 서러운 화자의 심정과 대조되어 화자의 슬픔을 강조해줍니다.

 

3연에서는 이러한 봄의 이미지가 이어집니다. 꽃밭과 처녀애들 역시 생명력을 가진 소재로 피어나는 봄의 생명력을 보여줍니다. 역시 이 3연의 이미지들도 서러운 화자의 심정과 대조되어 슬픔을 강조해줍니다.

 

4연에서는 화자가 슬픈 이유가 드러납니다.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과 같이'란 말을 통해 지금 화자는 사랑하는 임을 잃은 상황이며 그 때문에 서러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화자는 머지않아 다가올 아름다운 봄날의 정경을 상상하면서 사별한 임에 대한 애절한 슬픔과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죠. 2연과 3연에서 제시되는 생명력 넘치는 봄의 아름다움은 임과 사별한 화자에게 오히려 마음 속에 잠재해 있던 임에 대한 그리움을 자극하여 아름답고도 슬픈 봄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 시는 '봄비 내리는 날에 느끼는 사별한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의 제목은 '논두렁에 서서'입니다. 화자는 논두렁에서서 논고랑에 고인 물을 보는데요. 화자는 논두렁에서 무엇을 보는지 그리고 보이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며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갈아 놓은 논고랑에 고인 물을 본다.

마음이 행복해진다.

나뭇가지가 꾸부정하게 비치고

햇살이 번지고

날아가는 새 그림자가 잠기고

나의 얼굴이 들어 있다.

늘 홀로이던 내가

그들과 함께 있다.

누가 높지도 낮지도 않다.

모두가 아름답다.

그 안에 나는 거꾸로 서 있다.

거꾸로 서 있는 모습이

본래의 내 모습인 것처럼

아프지 않다.

산도 곁에 거꾸로 누워 있다.

늘 떨며 우왕좌왕하던 내가

저 세상에 건너가 서 있기나 한 듯

무심하고 아주 선명하다.

 

-이성선, 「논두렁에 서서」

 


화자는 논고랑에 고인 물에에 비친 모습을 보며 마음이 행복해집니다. 그 속에 비친 세상에는 나뭇가지가 꾸부정하게 비치고 햇살이 번지고 날아가는 새 그림자가 잠기고 '나'의 얼굴이 들어있습니다. 여기서 현실과 다른 점은 '늘 홀로이던 내가 그들과 함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화자는 지금 좋지 않은 상황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즉, 현실의 모습에 불만족하고 있는 것이죠.

 

물 속에 비친 세계에 대한 화자의 감상은 이어집니다. '누가 높지도 낮지도 않다. 모두가 아름답다'고요. 그리고

 

"그 안에 나는 거꾸로 서있다. 거꾸로 서 있는 모습이 본래의 내 모습인 것처럼 아프지 않다."라고 하는데요. 이는 지금 현실 속의 모습과는 반대로 자신의 모습(물 속에 비친 모습)이 자신이 원하는 모습이었음을 드러내며 현실에서 자신의 모습에는 불만족하고 있는 화자의 심리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물 속에 비친 모습에는 거꾸로 서있는 화자 옆에 산도 거꾸로 누워있습니다. 화자가 바라는 이상세계가 있는 것이죠.

그리고 그 모습은 보통의 우왕자왕하던 자신의 모습과 다르게(마치 저세상에 건너가 서있듯 다르게) 아주 선명합니다. 화자가 바라는 모습이 이렇게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죠.

 

이렇게 자신이 바라는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는 것은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화자가 추구하는 삶의 방향성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이 시는 논고랑에 고인 물에 비친 자신을 보며 느끼는 감상을 통해 '자아 성찰을 통한 조화롭고 무심한 삶의 추구'를 보여줍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 '호수'에서 화자는 청춘이 쇠락하는 자리에서 인생과 존재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있습니다. 시가 전개되면서 화자의 내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집중하며 시를 감상한 후에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어길 수 없는 약속처럼

나는 너를 기다리고 있다.

 

나무와 같이 무성하던 청춘이

어느덧 잎 지는 이 호숫가에서

호수처럼 눈을 뜨고 밤을 새운다.

 

이제 사랑은 나를 울리지 않는다.

조용히 우러르는

눈이 있을 뿐이다.

 

불고 가는 바람에도

불고 가는 바람같이 떨던 것이

이렇게 고요해질 수 있는 신비는

어디서 오는가.

 

참으로 기다림이란

이 차고 슬픈 호수 같은 것을

또 하나 마음속에 지니는 일이다.

 

-이형기, 「호수(湖水)」


시의 처음 부분을 보면 화자는 '너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때문에 화자의 상황은 부재하는 이를 기다리는 상황이며 화자의 정서는 당연스럽겠지만 좋지 않을 것 입니다.(어길 수없는 약속에 비유할 만큼 화자에게 큰 의미를 가진 사람이니까요)

 

이러한 기다림에서 화자의 모습은 예전의 나무처럼 무성하던 청춘이 아니라 잎 지는 호숫가의 이미지로 그려지며 호수처럼 눈을 뜨고 밤을 새우게 됩니다.(이때 호수로 비유한 것은 화자가 호수를 내면적 동일화의 대상으로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3연에서는 화자의 내면이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이제 사랑은 화자를 울리지 않고 화자에게는 조용이 우러르는 눈이 있을 뿐이죠. 이 조용이 우러른다는 것은 마음이 고요해진다는 것으로 잎 지는 것 같이 쇠락했던 화자의 마음이 고요한 기다림의 자세를 가지게 된 것을 보여줍니다.

 

4연에서는 이러한 화자의 모습을 호수의 모습을 통해 보여줍니다. 불고가는 바람에 떨던 호수는 이제는 고요해져있는 모습을 통해 화자는 자신의 내면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5연에서 화자는 이러한 자신의 모습을 '기다림이란 이 차고 슬픈 호수 같은 것을 또 하나 마음속에 지니는 일이다.'라고 하며 사랑이 지배하던 청춘이 소멸해 감을 바라보면서 기다림의 눈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화자 내면의 성숙의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자신의 내면의 변화를 호수와 동일화하여 이 시는 '호수와 같은 기다림의 태도와 내면의 성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독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자연을 보다보면 그 속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번에 다룰 시 '그 여름에 끝'에서도 역시 그런데요. 화자는 그 여름에 나무 백일홍을 보며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낍니다. 화자가 배운 백일홍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를 생각하며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그 여름 나무 백일홍은 무사하였습니다 한차례 폭풍에도 그다음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아 쏟아지는 우박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습니다

 

그 여름 나는 폭풍의 한가운데 있었습니다 그 여름 나의 절망은 장난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지만 여러 차례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았습니다

 

넘어지면 매달리고 타올라 불을 뿜는 나무 백일홍 억센 꽃들이 두어 평 좁은 마당을 피로 덮을 때, 장난처럼 나의 절망은 끝났습니다

 

-이성복, 「그 여름의 끝」


시의 처음은 나무 백일홍의 모습으로 시작합니다. 그 여름 나무 백일홍은 여러차례의 폭풍을 겪어내면서도 쓰러지지 않고 붉은 꽃들을 피워냅니다. 그만큼 나무 백일홍은 강한 생명력으로 시련을 이겨내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2연에서는 그 여름 나의 모습이 나옵니다. 백일홍과 마찬가지로 폭풍의 한가운데 있는 나. 절망이 장난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고 여러차례 폭풍이 있었지만 나도 역시 쓰러지지 않았습니다. 2연에서 나는 백일홍과 비슷하게 그려지는데 이를 통해 이 시에서는 백일홍과 시적 화자가 대응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3연에서는 여러차례의 폭풍을 겪으면서도 여름을 견딘 백일홍의 강한 생명력을 보며 화자 역시 절망을 극복해가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백일홍의 모습을 통해 화자가 내면의 변화를 맞는 모습을 그리며 이 시는 '자연의 생명력을 통한 시련 극복의지'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질 것을 알면서도 끝내 피워내는 꽃을 보면 무언가를 느끼게됩니다. 이번에 다룰 시 "꽃잎 절구"에서도 이렇게 꽃이 피고 지는 과정에서 가냘픈 꽃잎이 보여준 생명력과 생에 대한 열정을 예찬합니다. 화자가 꽃잎을 어떻게 표현하고 어떻게 예찬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며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꽃잎이어* 그대

다토아* 피어

비바람에 뒤설레며

가는 가냘픈 살갗이어

 

그대 눈길의

머언 여로(旅路)*에

하늘과 구름

혼자 그리워

붉어져 가노니

 

저문 산 길가에 저*

뒤뒹굴지라도

마냥 붉게 타다 가는

환한 목숨이어.

 

-신석초, 「꽃잎 절구(絶句)」

 

*-이어 : -이여 / *다토아 : 다투어

*여로 : 여행가는길, 또는 나그네가 가는 길 / *저: 져.


1연에서는 시련을 이겨내고 피어난 가냘픈 꽃잎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가냘픈 꽃잎은 비바람이라는 고난에도 다투어 피어내며 생명력을 보여줍니다. 화자는 이러한 꽃잎을 영탄적 어조로 부르며 예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2연에서는 하늘과 구름이라는 이상을 향한 그리움으로 붉게 무르익는 꽃잎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 이상이 머나먼 여행길 같더라고 붉어지며 노력하는 꽃잎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3연에서는 지는 순간에도 불게 타다가는 환한 목숨으로 최후의 순간에도 강렬한 삶의 의지를 보여주는 꽃잎의 모습을 예찬합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는 꽃잎의 생명력에 대한 감탄과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합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 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 민들레 꽃에서 시인은 민들레꽃을 통해 삶을 대하는 가치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민들레 꽃을 통해 시인이 드러내려는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생각하며 시를 읽고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쬐그만 것이

노랗게 노랗게

전력을 다해 샛노랗게 피어 있다

 

아무 곳도 넘보지 않는다

다만 혼자

주어진 한계 그 안에서 아슬아슬

한치의 틈도 없이 끝까지

 

바위 새를 비집거나 잡초 속이거나

씨 뿌려진 그 자리가 바로 내 자리

터를 잡고

 

물을 길어 올리는 실뿌리

어둠을 힘껏 밀어내는 떡잎

그리고 그것들이 한데 어울려

열심히 열심히 한 댓새

 

세상에 그밖에는 할 일이 없어서

아주 노랗게 노랗게만 피는 꽃

피어선 질 수밖에 없는 꽃

 

쬐그만 것이지만 그 크기는

어떤 자로서도 잴 수 없다

아 민들레!

그래봤자

혼자 가는 자의 헛된 꿈

하지만 헛되어도 좋은 꿈 아니냐

한 댓새를 짐짓 영원인 양하고

보라 저기 민들레는 피어있다

 

-이형기, 「민들레 꽃」


시의 처음에는 민들레 꽃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시에서 그려지는 민들레 꽃의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민들레 꽃은 쬐그만하지만 전력을 다해 피는 꽃(1연)

다른 공간은 욕심내지 않고 주어진 한계 안에서 홀로 애쓰는 꽃(2연)

씨가 뿌려진 곳이 비좁은 곳이라도 자신의 자리로 받아들이고 터를 잡는 꽃(3연)

강한 의지와 생명력으로 꽃을 피우기 위해 노력하는 꽃(4연)

꽃이 피면 질 것을 알고 있지만 그래도 꽃을 피워내는 꽃(5연)

 

이와 같은 민들레 꽃의 모습을 통해 화자는 '쬐그만 것이지만 그 크기는 어떤 자로도 잴 수 없다'고 인식하며 삶에 대해 생각합니다.

 

혼자가는 자의 헛된 꿈일지라도 좋은 꿈 아니냐고말이죠. 민들레 꽃처럼 닷새(꽃이 피어 있는 시간)를 짐짓 영원인 양하자고 운명에 좌절하지 않고 허무에 맞서자고 말이죠.

 

이렇게 해서 화자는 민들레의 모습을 통해 '정해진 운명에 좌절하지 않고 허무에 맞서는 삶의 자세'를 드러냅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