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든 시기일 수록 다른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빛을 발하는 법인 것 같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이번 시간에 다룰 시 '황혼'에서는 힘든 상황에서 소외되고 외로운 사람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보내는 인류애를 느낄 수 있고 다른 사람들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시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화자는 지금 골방에 앉아있습니다. 그리고 커튼을 걷고 창밖의 황혼을 바라봅니다. 저물어가는 해의 붉은 기운을 보며 인간이 가진 외로움에 대해 생각하던 화자는 황혼의 따뜻한 온기를 느끼며 다른 소외되고 외로운 사람들에게도 이 온기를 보내고 싶어합니다. 황혼의 손에서 모든 것으로 인식을 확대한 화자는 이제 점층적으로 이 인식을 나열하며 구체화하며 그들에 대한 애정을 보입니다.(이 때 현실 상황을 대입해 보면 소외되고 외로운 이들은 일제 강점기 하에서 고통받는 사람들, 전세계적으로 제국주의로 인해 정복이 일어나고 식민지가 생겨나는 상황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화자는 골방 안에서 지구의 반쪽(소외된 그늘 부분)을 바라보며 애정어린 시선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애정으로 지금 화자가 있는 골방도 아늑해집니다. 화자는 내일도 골방안에서 황혼을 바라보고 싶어 합니다. 단, 이러한 의지를 가지면서도 인간의 꿈과 한계에 대한 인식으로 마지막 부분에 미래를 우려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이 시는 전반적으로 표현법보다는 내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제 이를 바탕으로 전문을 읽고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내 골방의 커-튼을 걷고

정성된 맘으로 황혼을 맞아들이노니

바다의 흰갈매기들같이도

인간은 얼마나 외로운 것이냐

 

황혼아 네 부드러운 손을 힘껏 내밀라

내 뜨거운 입술을 맘대로 맞추어 보련다

그리고 네 품안에 안긴 모-든 것에

나의 입술을 보내게 해다오

 

저-십이성좌의 반짝이는 별들에게도

종소리 저문 삼림 속 그윽한 수녀들에게도

시멘트 장판 위 그 많은 수인(囚人)들에게도

의지할 가지 없는 그들의 심장이 얼마나 떨고 있을까

 

고비사막을 끊어가는 낙타 탄 행상대에게나

아프리카 녹음 속 활 쏘는 인디언에게라도

황혼아 네 부드러운 품안에 안기는 동안이라도

지구의 반쪽만을 나의 타는 입술에 맡겨다오

 

내 오월의 골방이 아늑도 하오니

황혼아 내일도 또 저-푸른 커-튼을 걷게 하겠지

암암(暗暗)히 사라지긴 시냇물 소리 같아서

한번 식어지면 다시는 돌아올 줄 모르나 보다

 

- 이육사, 「황혼」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728x90
반응형

힘든 시간은 존재하지만 그 힘든 시간을 과거로 보내고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시 '바다에서'는 과거의 힘들고 거칠었던 시간을 뒤로 하고 밝은 미래를 준비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시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나의 인생은 파도에 휩쓸리며 이리저리 흔들렸습니다. 차가운 물보라에 나는 울음을 참아야 했고 나는 홀로였습니다. 일어났다 넘어졌다 스스로 거칠어지며 무너지기도 하는 나날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현재의 나는 이런 과거의 나와 결별하려고 합니다.(본문 아득히 띄워보내고) 지금 바다 속에 깊이 잠겨있는 상태지만 나는 하늘을 생각합니다. 나에게 이 생각의 시간은 꽃처럼 황홀한 순간입니다. 다시 슬픔의 시간이 오고 잠기더라도 나는 이제 자신에 대해 뉘우치고 반성하지 않은 당당한 내가 될 수 있는 하늘을 꿈꿀 것입니다.

시인은 이러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바다'와 '하늘'을 대조시켜 의미를 전달합니다. '바다'는 현실의 시련과 고난, 슬픔을 상징하고 '하늘'은 꿈과 이상을 의미합니다. 시의 제목이 '바다에서'이다보니 '바다'를 긍정적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 이점이 포인트입니다:)

 


차운 물보라가

이마를 적실 때마다

나는 소년처럼 울음을 참았다.

 

길길이 부서지는 파도 사이로

걷잡을 수 없이 나의 해로(海路)가 일렁일지라도

나는 홀로이니라,

나는 바다와 더불어 홀로이니라.

 

일었다간 스러지는 감상(感傷)의 물거품으로

자폭(自暴)의 잔(盞)을 채우던 옛날은

이제 아득히 띄워보내고,

 

왼몸을 내어맡긴 천인(千仞)의 깊이 위에

나는 꽃처럼 황홀한 순간을 마련했으니

 

슬픔이 설사 또한 바다만 하기로

나는 뉘우치지 않을

나의 하늘을 꿈꾸노라.

 

 

- 김종길, 「바다에서」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