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 문학의 특징이라면 '이별의 정한'이 꼭 나오는데요. '이별의 정한'을 대표하는 작품이 바로 이번에 다룰 '진달래꽃'입니다. 사실 너무나 유명한 시여서 부연설명이 그리 필요가 없을 것 같네요^^;;
문제를 풀기 위해 시를 처음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표현법과 상황파악, 화자의 정서 파악을 공부하기에 좋고, 그냥 감상하기에도 슬픈 감정을 느끼기에 참 좋은 시 진달래 꽃.
화자는 이별의 상황을 가정하여 표면적으로는 임과 이별하더라도 그 슬픔을 참고 견디겠다는 자세를 보여줍니다.
수미상관, 역설, 반어법 등이 쓰였으니 전문을 읽으면서 이를 찾아보고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김소월, 「진달래꽃」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현승 - 가을의 기도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1.10.07 |
---|---|
이용악 -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1.10.06 |
백석 - 여우난곬족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여우난골족) (0) | 2021.10.05 |
이형기 - 낙화 해석 / 해설 / 정리 / 분석 (0) | 2021.10.05 |
김관식 - 거산호Ⅱ 해석 / 해설 / 정리 / 분석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