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작품은 김수영 시인의 '달나라의 장난'입니다. 이 시에서 화자는 돌아가는 팽이를 보면서 무언가를 느끼는데요. 화자가 느끼는 감정에 집중하여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팽이가 돈다

어린아해이고 어른이고 살아가는 것이 신기로워

물끄러미 보고 있기를 좋아하는 나의 너무 큰 눈 앞에서

아이가 팽이를 돌린다

살림을 사는 아해들도 아름다웁듯이

노는 아해도 아름다워 보인다고 생각하면서

손님으로 온 나는 이 집 주인과의 이야기도 잊어버리고

또 한번 팽이를 돌려주었으면 하고 원하는 것이다

도회 안에서 쫓겨다니는 듯이 사는 나의 일이며

어느 소설보다도 신기로운 나의 생활이며

모두 다 내던지고

점잖이 앉은 나의 나이와 나이가 준 나의 무게를 생각하면서

정말 속임 없는 눈으로

지금 팽이가 도는 것을 본다

그러면 팽이가 까맣게 변하여 서서 있는 것이다

누구 집을 가보아도 나 사는 곳보다는 여유가 있고

바쁘지도 않으니

마치 별세계(別世界)같이 보인다

팽이가 돈다

팽이가 돈다

팽이 밑바닥에 끈을 돌려 매이니 이상하고

손가락 사이에 끈을 한끝 잡고 방바닥에 내어던지니

소리없이 회색빛으로 도는 것이

오래 보지 못한 달나라의 장난 같다

팽이가 돈다

팽이가 돌면서 나를 울린다

제트기 벽화 밑의 나보다 더 뚱뚱한 주인 앞에서

나는 결코 울어야 할 사람은 아니며

영원히 나 자신을 고쳐가야 할 운명과 사명에 놓여 있는 이 밤에

나는 한사코 방심조차 하여서는 아니 될 터인데

팽이는 나를 비웃는 듯이 돌고 있다

비행기 프로펠러보다는 팽이가 기억이 멀고

강한 것보다는 약한 것이 더 많은 나의 착한 마음이기에

팽이는 지금 수천 년 전의 성인(聖人)과 같이

내 앞에서 돈다

생각하면 서러운 것인데

너도 나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

공통된 그 무엇을 위하여 울어서는 아니 된다는 듯이

서서 돌고 있는 것인가

팽이가 돈다

팽이가 돈다

-김수영, 「달나라의 장난」


다소 난해한 이시를 요약해보면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① 팽이가 도는 걸 본다

② 과거의 순수했던 시절(본질적 가치를 쫓던 시절)을 떠올린다

③ 자신이 팽이를 돌려본다

④ 세속적가치에 잡혀 본질적 가치를 쫓지 못한 자기 자신을 성찰한다.

먼저 처음은 팽이가 도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원래 관찰하는 것을 좋아하는 화자, 다만 자신의 눈을 너무 큰 눈이라고 표현한 것에서('너무'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관찰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이미 어른의 가치관 세속의 가치관을 가지고 관찰하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 화자 앞에서 아이가 팽이를 돌립니다. 화자는 집주인과 이야기하는 것도 잊어버린 채 이를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다시 한번 팽이를 돌려주기를 원합니다. 돌아가는 팽이의 모습에서 뭔가를 느낀 것이죠.

화자는 이제 현실의 삶을 벗어던지고 현실의 중압감을 느끼면서도 정말 순수한 눈으로 정말 속임없는 눈으로 팽이가 도는 것을 봅니다.

그러자 팽이 안에서 새로운 것이 보냅니다. '누구 집을 가보아도 나 사는 곳보다 여유가 있고 바쁘지 않은'그런 별세계같은 곳이 보입니다. 삶의 고단한 삶을 벗어던져진 그런 곳이 보인 것이죠.(혹은 다른 집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삶의 고단함을 나타낸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화자는 스스로 팽이를 돌려봅니다. 오랜만에 팽이를 잡으니 어색하지만 팽이를 돌려보니 오랬동안 달나라의 장난같이 보입니다. (이 때 달나라의 장난은 세속적 가치에서 벗어난 순수한 삶의 자세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자는 팽이가 도는 것을 보면서 자신에 대해 성찰합니다. 자신은 세속적 가치에 굴복할 사람이 아니며 스스로 원하는 가치를 위해 나아가야할 사람인데 그러지 못하고 있음을 깨닫는 것이죠.

 

그러면서 화자는 팽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에 대해 깨닫고 느낍니다. 그리고 자신이 지향하는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하며 자신을 다잡습니다. 그리고 '팽이가 돈다'를 반복하며 시를 마무리합니다.

그렇게 이 시는 돌아가는 팽이를 보며 '자신에 대한 성찰과 세속적 가치에서 벗어난 순수한 삶의 자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