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 '산'에서는 '산'을 인격화하여 산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속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를 읽으며 산이 지닌 덕성에 대해 생각하며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이상하게도 내가 사는 데서는

새벽녘이면 산들이

학처럼 날개를 쭉 펴고 날아와서는

종일토록 먹도 않고 말도 않고 엎댔다가는

해 질 무렵이면 기러기처럼 날아서

틀만 남겨 놓고 먼 산속으로 간다

 

산은 날아도 새둥이나 꽃잎 하나 다치지 않고

짐승들의 굴속에서도

흙 한 줌 돌 한 개 들썽거리지 않는다

새나 벌레나 짐승들이 놀랄까 봐

지구처럼 부동의 자세로 떠 간다

그럴 때면 새나 짐승들은

기분 좋게 엎대서

사람처럼 날아가는 꿈을 꾼다

 

산이 날 것을 미리 알고 사람들이 달아나면

언제나 사람보다 앞서 가다가도

고달프면 쉬란 듯이 정답게 서서

사람이 오기를 기다려 같이 간다

산은 양지바른 쪽에 사람을 묻고

높은 꼭대기에 신을 뫼신다

 

산은 사람들과 친하고 싶어서

기슭을 끌고 마을에 들어오다가도

사람 사는 꼴이 어수선하면

달팽이처럼 대가리를 들고 슬슬 기어서

도로 험한 봉우리로 올라간다

 

산은 나무를 기르는 법으로

벼랑에 오르지 못하는 법으로

사람을 다스린다

 

산은 울적하면 솟아서 봉우리가 되고

물소리를 듣고 싶으면 내려와 깊은 계곡이 된다

 

산은 한 번 신경질을 되게 내야만

고산(高山)도 되고 명산(名山)도 된다

 

산은 언제나 기슭에 봄이 먼저 오지만

조금만 올라가면 여름이 머물고 있어서

한 기슭인데 두 계절을

사이좋게 지니고 산다

 

-김광섭, 「산」


이 작품에서 '산'은 배려심이 깊고, 포용력이 있으며 너그럽고 신성한 특성를 지닌 존재로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1연에서는 늘 인간세상과 함꼐하는 산의 모습을 2연에서는 모든 생명을 배려하는 산의 모습을 3연에서는 인간과 함께하려는 산의 모습을 4연에서는 세속적 가치를 거부하는 산의 모습을 5연에서는 인간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산의 모습 6,7연에서는 이간적 감정과 속성을 지닌 산의 모습을 8연에서는 포용력을 지니고 있는 산의 모습을 모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인간이 지녀야 할 바람직한 덕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산을 경외의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면모를 지닌 대상으로 표현함으로써 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는 '산을 통해 배우는 바람직한 삶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