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 '꽃밭의 독백 - 사소단장'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화를 이해해야합니다. 왜냐하면 이 시가 '사소설화'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시이기 때문입니다. '사소'는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의 어머니로 이 시는 그녀가 처녀의 몸으로 잉태하여 산으로 신선 수행을 가기 전 그녀의 집 꽃밭에서 한 독백을 가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 이 상황을 토대로 시를 읽고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노래가 낫기는 그중 나아도

구름까지 갔다간 되돌아오고,

네 발굽을 쳐 달려간 말은

바닷가에 가 멎어 버렸다.

활로 잡은 산돼지, 매(鷹)로 잡은 산새들에도

이제는 벌써 입맛을 잃었다.

꽃아. 아침마다 개벽하는 꽃아.

네가 좋기는 제일 좋아도,

물낯바닥에 얼굴이나 비취는

헤엄도 모르는 아이와 같이

나는 네 닫힌 문에 기대섰을 뿐이다.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

벼락과 해일만이 길일지라도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

 

- 서정주, 「꽃밭의 독백-사소단장」


시적 화자인 '사소', 그녀는 인간 세계의 유한성을 느끼고 인간본질의 한계를 뛰어넘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구름'과 '바닷가'를 통해 넘어설 수 없는 경계를 경험하고 '산돼지'나 '산새'와 같은 인간세계의 어떤 것에도 관심을 가지지 않습니다. 그러던 중 '개벽하는 꽃'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헤엄칠 줄 모르는 아이가 수면에 자신의 얼굴이나 비춰 보듯, 그렇게 꽃의 ‘닫힌 문’을 뚫어져라 바라보다 꽃을 향해 '문 열어라' 애타게 소리칩니다. 이 과정에서 벼락과 해일같은 고난이 있더라고 '문 열어라'라고 애타게 소리치며 시련과 고난을 극복하고 문을 열려는 강한 열망을 보여주며 시가 마무리됩니다.

 

이렇게 이 시는 '영원한 절대 정신을 갈망하는 구도적 정신'을 표현했는데요. 이를 상징적 시어와 반복적 표현을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