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수많은 생명체들에게 휴식을 주며 거처가 되주기도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사람들은 숲에가서 자신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힐링을 하고오기도 하지요. 오늘 다룰 시 '가을 떡갈나무 숲'에서는 이러한 숲의 속성을 이용하여 '생명체들이 서로 기대어 살아가는 떡갈나무 숲의 아름다운 풍경'을 이야기 하며 이러한 자연에 대한 화자의 '동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먼저 시를 읽은 후 해석을 봐보도록 합시다:)
떡갈나무 숲을 걷는다. 떡갈나무 잎은 떨어져
너구리나 오소리의 따뜻한 털이 되었다. 아니면,
쐐기집이거나, 지난여름 풀 아래 자지러지게
울어 대던 벌레들의 알의 집이 되었다.
이 숲에 그득했던 풍뎅이들의 혼례,
그 눈부신 날갯짓 소리 들릴 듯한데,
텃새만 남아
산 아래 콩밭에 뿌려 둔 노래를 쪼아
아름다운 목청 밑에 갈무리한다.
나는 떡갈나무 잎에서 노루 발자국을 찾아본다.
그러나 벌써 노루는 더 깊은 골짜기를 찾아,
겨울에도 얼지 않는 파릇한 산울림이 떠내려오는
골짜기를 찾아 떠나갔다.
나무 등걸에 앉아 하늘을 본다. 하늘이 깊이 숨을 들이켜
나를 들이마신다. 나는 가볍게, 오늘 밤엔
이 떡갈나무 숲을 온통 차지해 버리는 별이 될 것 같다.
떡갈나무 숲에 남아 있는 열매 하나.
어느 산짐승이 혀로 핥아 보다가, 뒤에 오는
제 새끼를 위해 남겨 놓았을까? 그 순한 산짐승의
젖꼭지처럼 까맣다.
나는 떡갈나무에게 외롭다고 쓸쓸하다고
중얼거린다.
그러자 떡갈나무는 슬픔으로 부은 내 발등에
잎을 떨군다. 내 마지막 손이야. 뺨에 대 봐,
조금 따뜻해질 거야, 잎을 떨군다.
- 이준관, 「가을 떡갈나무 숲」
화자는 지금 떡갈나무 숲에 와있습니다. 떨어진 나무의 잎은 동물과 벌레의 거처가 되어줍니다. 화자는 여름의 흔적만 남기고 가을이 된 떡갈나무 숲 속에서 동물들의 흔적으 찾아 걸으며 자연을 마주합니다. 그러면서 화자는 떡갈나무 숲과 하나가되는 동일감을 느껴갑니다. 떨어진 열매 하나에도 산짐승이 다른 동물을 배려해 남겨두었다고 생각하며 떡갈나무 숲 속 생명체들의 상생의식을 느끼며 화자는 깨달음을 얻습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슬픔을 말하자 떡갈 나무 숲은 화자를 위로해줍니다. 그렇게 화자는 자연 속에서 치유 받으면서 위로를 받습니다.
이렇게 볼 때 이 시의 내용 구조는 이렇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2jicl/btrkwmjVG49/yADRexk1VSKBmeZz4WI640/img.png)
또한, 이러한 내용을 생생하게 나타내기 위해 화자는
공감각적 심상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화자는 떡갈나무 숲 속의 모습을 보다 생생하게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공감각적 심상(눈부신 날갯짓 소리, 뿌려 둔 노래, 파릇한 산울림)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내용적으로는 마지막 연에 화자와 떡갈나무 숲의 대화에서 화자의 말과 떡갈나무 숲의 말을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 해보도록 합시다:)
![](https://blog.kakaocdn.net/dn/l6cM5/btrkAExnpA7/ol6KxlV8M11tCSk3RcOl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dLnvK/btrkAOAbDYK/34mVgkjZ5EknNhjILMUzD0/img.jpg)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우의 노래 - 서정주 ,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1.11.13 |
---|---|
추천사 - 춘향의 말 1 - 서정주,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1.11.13 |
빈집 - 기형도,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1.11.12 |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해석 / 해설 / 정리 / 분석 (0) | 2021.11.12 |
다시 느티나무가, 신경림 -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1.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