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거울은 현실의 나를 비추어 주는 대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거울 속에 자신을 보고 자신에 대해 생각합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시 이상의 '거울'에서는 거울의 이러한 속성을 통해 자신의 자아에 대해 생각하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시인이 거울 속 '자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중심으로 시를 감상하고 해석을 읽어보도록 합시다.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것이오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

내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가두개나있소

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오

내악수(握手)를받을줄모르는-악수(握手)를모르는왼손잡이오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못하는구료마는

거울이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했겠소

나는지금(至今)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늘거울속의내가 있소

잘은모르지만외로된사업(事業)에골몰할게요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反對)요마는

또꽤닮았소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진찰(診察)할수없으니퍽섭섭하오

-이상, 「거울」


1연에서 시인은 거울 속의 세계가 조용하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한편으로 거울 밖의 현실 세계가 시끄럽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하는데, 거울이 모든 사물을 거꾸로 비춰 준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거울 속이 조용하다고 말함으로써 오히려 거울 밖이 소란스럽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것은 2연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거울 속에 있는 귀가 현실 속의 소란한 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으로 시끄러운 세상에 있는 '나'과 조용한 거울 속의 '나'는 서로 단절되어 있습니다. 화자는 안타까움(딱한귀)을 느끼지만 어쩔 수 없습니다.

3연에서 나는 화해를 시도해보지만 실패로 끝납니다. 거울 속의 나는 현실의 나를 반사시켜놓은 것이기 때문에 오른손잡이인 나의 악수를 왼솝잡이인 거울은 받을 수 없는 것이죠. 이런 자아의 분열은 거울의 모순적인 속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는 4연에 나타납니다. 거울을 매개로 두 자아가 서로 만날 수 있지만 동시에 거울로 인해 두 자아의 만남이 차단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5연에서는 거울 속의 나가 외로된 일에 골몰하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두 자아가 분열을 넘어 서로 따로 살아가는 존재(외로운 사업)로까지 표현됩니다.

그리고 이는 해소되지 못하고 마지막 연에 이르러 더욱 심화되며 시가 마무리됩니다. 이렇게 하여 시인은 '현대인의 불안 심리와 자아 분열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 심리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시인은 먼저, 자동기술법이라고 불리는 기법으로 띄어쓰기 등을 무시한 채 있는 그대로의 의식을 표현해 냈습니다. 그리고 역설적 표현을 통해 자아의 모순성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해석의 내용을 확인하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