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청산별곡'은 고려가요로 '청산'에 가서 살고싶은 마음을 노래한 시입니다. 화자가 청산에 가려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본문과 현대어 해석을 읽은 후 해설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화자는 왜 청산(혹은 바다)으로 가고자하는 것일까요? 네. 화자는 현실의 고통과 근심에서 벗어나고자 청산(혹은 바다)로 가고자 하는 것입니다.

청산별곡의 처음에서 화자는 이러게 청산에 가고 싶은 마음을 노래합니다. 이때 머루와 다래를 먹는 것은 현실에서 나는 것은 먹지 않겠다는 현실과의 단절의지로도 볼 수 있고 최소한의 먹을 것만 있으면 어지러운 현실을 떠나 청산에 살겠다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후렴구 같은 경우는 의미없는 소리의 반복으로 의미강조기능은 없지만 운율형성을 해주고 작품 구조에 통일성을 부여해줍니다. 고려가요같은 경우 구전된 것을 묶어서 만들었기 때문에 각각의 연들이 같은 작품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이렇게 후렴구를 붙이기도 했습니다.

2연에서 화자는 새에게 감정이입을 합니다. 새가 운다라고 느끼는 것은 화자의 감정이 슬프기 때문에 감정이입이 된 것이며 이 감정이입된 새보다 자신이 시름이 많다고 하여 부정적 처지를 강조합니다. 새나 자신이나 모두 슬프지만(동병상련) 자신은 더 슬프다. 이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3연에서는 날아가는 새를 보면서 속세에 대한 미련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때 가던 새는 '날아가는 새'로 해석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갈던 사래(밭고랑)'으로도 해석할 수있습니다. 그리고 쟁기는 속세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도구로 화자가 농민이었음을 알려주기도 합니다.

4연에서는 밤이 되며 더욱더 절망에 따지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납니다. 밤은 화자를 찾아올 사람도 화자가 찾아갈 사람도 없는 너무나도 고독한 시간이기에 화자는 더욱더 힘들어합니다.

5연에서는 삶에 대한 체념을 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화자는 자신에게 날라오는 돌(시련)이 어디에 누구를 맞히려는 돌이라고 물으며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맞아 그저 우는 체념적인 태도를 보여줍니다.

6연에서는 바다(청산과 같은 의미입니다)로 가고자하는 화자의 마음이 드러납니다. 구조상 1연과 대칭을 이룹니다.

7연에서 화자는 외딴 부엌을 듣다가 해금소리를 듣게 됩니다. 이 떄 해금소리는 사슴이 장대에 올라 켜는 해금 소리인데 이는

① 사슴 탈을 쓴 광대가 해금을 켜는 것으로 놀이를 보고 화자가 위안을 얻는 것으로도

② 진짜 사슴이 장대에 올라 해금을 켜는 것으로 화자가 불가능한 상황을 생각하며 기적이 일어나길 바라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8연에서 화자는 고뇌를 술로 달래게 됩니다. 이 때 술로 고뇌를 달랜다는 것은 현실을 해결하는 것이 아닌 체념하는 태도로 볼 수 있습니다.(술을 마셔서 고뇌를 잊으려고 해도 잠시일 뿐 술이 깨면 현실은 그대로기 때문이죠)

이렇게 청산별곡은 '삶의 고뇌와 비애'를 그리고 있으며 이 때 화자를 유랑민, 실연한 사람, 지식인 등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조금씩 달라지기도 합니다. 다만, 이는 문제로 낼 때 <보기>에 제시되니 문제에 출제되는 <보기>를 잘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만 청산별곡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