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현실에 불평을 하지만 불평과는 달리 현실에 안주하고 살아가곤 합니다. 이번에 다룰 시 '새'에서는 새장에 갇힌 새의 모습을 통해 억압된 현실에 안주하고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시 속에서 새의 행동을 통해 현대인의 어떠한 모습을 보여주는지를 생각하며 시를 감상하며 해석을 통해 학습해 보도록 합시다.


새는 새장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매번 머리를 부딪치고 날개를 상하고 나야 보이는,

창살 사이의 간격보다 큰, 몸뚱어리.

하늘과 산이 보이고 울음 실은 공기가 자유로이 드나드는

그러나 살랑거리며 날개를 굳게 다리에 매달아 놓는,

그 적당한 간격은 슬프다.

그 창살의 간격보다 넓은 몸은 슬프다.

넓게, 힘차게 뻗을 날개가 있고

날개를 힘껏 떠받쳐 줄 공기가 있지만

새는 다만 네 발 달린 짐승처럼 걷는다.

부지런히 걸어 다리가 굵어지고 튼튼해져서

닭처럼 날개가 귀찮아질 때까지 걷는다.

새장 문을 활짝 열어 놓아도 날지 않고

닭처럼 모이를 향해 달려갈 수 있을 때까지 걷는다.

걸으면서, 가끔, 창살 사이를 채우고 있는 바람을

부리로 쪼아본다, 아직도 벽이 아니고

공기라는 걸 증명하려는 듯.

유리보다도 더 환하고 선명하게 전망이 보이고

울음 소리 숨내음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고안된 공기,

그 최첨단 신소재의 부드러운 질감을 음미하려는 듯.

 

- 김기택, 「새」


처음 부분에서 새장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새의 모습이 제시됩니다. 처음 부분에서 새는 매번 머리를 부짖치고 날개를 상하고 나서야 창살의 틈보다 큰 자신의 모습을 알게 된 것으로 봐서 억압된 현실이지만 이 현실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화자 역시 그러한 새의 모습이 창살보다 더 큰 새의 몸집을 보고 슬퍼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에의 저항은 오래가지 않습니다.

 

8행부터를 보면 새는 날개가 있고 공기가 있지만 네 발달린 짐승처럼 튼튼해진 다리를 가지고 마치 닭처럼 걷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억압된 현실에 저항하는 것을 그만두고 안주하는 것이죠. 그렇기에 새장의 문을 열어 놓아도 날지 않고 모이가 있는 곳까지 그저 걸어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새들은 가끔 창살 사이를 채우는 바람을 쪼아봅니다. 그리고 그 공기를 '유리보다 환하고 선명하고 전만이 보이고 울음 소리 숨내음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고안된 최첨단 신소재'로 인식하며 음미합니다. 그러면서 새장 안에 갇힌 자신의 모습을 합리화키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이렇게 새장 안의 새의 모습을 통해 시인은 '자유를 잃고 문명에 익숙해져 살아가는 현대인들에 대한 비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시구의 의미와 표현법을 보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