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가사는 허난설헌의 「규원가」입니다. 「규원가」는 '규방-부녀자가 거처하는 방-에서 원망하는 노래'라는 뜻으로 화자가 무엇에 대해 원망하는 지를 생각하며 한글풀이를 읽고 원문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엊그제 젊었더니 어찌 벌써 늙어 버렸는가?

어릴 적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해야 헛되다

늙어서 서러운 사연을 말하자니 목이 멘다

부모님께서 낳아 기르며 몹시 고생하여 이 몸 길러내실 때

높은 벼슬아치의 배필은 바라지 못할지라도 군자의 좋은 짝이 되기를 바랐더니,

전생에 지은 원망스러운 업보요. 부부의 인연으로,

장안의 호탕하면서 경박한 사람을 꿈같이 만나 있어

(시집갈)당시에 마음 쓰기를 (마치) 살얼음 디디는 듯,

열다섯, 열여섯 살을 겨우 지나 타고난 고운 모습이 저절로 나타나니

이 얼굴과 이태도로 평생을 약속하였더니,

세월이 빨리 지나가고 조물주가 시기함이 많아서

봄바람 가을 물이 베틀의 올에 북이 지나가듯(빨리지나)

아름다운 얼굴 어디 두고 밉게도 되었구나

내 얼굴을 내가 보고 알거니와 어느 임이 나를 사랑할 것이냐?

스스로 부끄러워하니 누구를 원망하리?

삼삼오오(다니는) 기생집에 새 기생이 나타났다는 말이냐?

꽃 피고 날 저물 때 정처없이 나가서,

호사로운 차림을 하고 어디어디 머물러 노는고?

멀리 있는지 가까이 있는지 모르는데 (맘의) 소식이야 더욱 알 수 있으랴?

(겉으로는) 인연을 끊으려고 한들(임에 대한) 생각까지 없을 것인가?

(남편의) 얼굴을 못 보거든 그립기나 말았으면 좋으련만

열두 때 길기도 길어 서른 날이 지루하다

규방 앞에 심은 매화는 몇 번이나 피었다 졌는고?

겨울밤 차고 찬 때 자국눈 섞어 내리고,

여름날 길고 긴 때 궂은비는 무슨 일인고?

봄날 온갖 꽃 피고 버들잎이 돋아나는 좋은 시절에 아름다운 경치를 보아도 아무 생각이 없다.

가을 달이 방에 들이비추고 귀뚜라미가 칭상에서 울 때

긴 한숨 흘리는 눈물 헛되이 생각만 많다.

아마도 모진 목숨 죽기도 어렵구나.

돌이켜 풀어 헤아리니 이렇게 살아서 어찌 하리?

청사초롱 돌려놓고 푸른빛 거문고 비스듬히 안아

변련화 한 곡조를 시름에 잠겨 연주하니,

소상강 밤비에 대나무 소리가 함께 들리는 듯,

(묘 앞에 세우는)망주석에 천 년 만에 돌아온 이별이 학이 울고 다니는 듯,

아름다운 손으로 연주하는 솜씨가 옛 가락이 아직 남아 있지만,

연꽃무늬 휘장을 친 방이 고요하고 쓸쓸하니 누구 귀에 들릴 것인가?

마음속이 (괴로움으로) 뒤틀리어 굽이굽이 끊어졌도다.

차라리 잠이 들어 꿈에나 보려 하니,

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과 풀 속에 우는 벌레가,

무슨 일로 원수라서 잠조차 깨우는가?

하늘의 견우직녀 은하수에 막혔어도,

칠월 칠석 일 년에 한 번씩은 빼먹지 않고 약속을 어기지 않는데

우리 임 가신 후에 무슨 건너지 못할 강이 가렸기에,

오거나 가거나 소식조차 끊겼는고?

난간에 기대어 서서 임 가신 데 바라보니.

풀에 이슬이 맻혀 있고 저녁 구름이 지나갈 때

대나무 숲 푸른 곳의 새소리 더욱 서럽다.

세상의 서러운 사람 수없이 많다고 하지만,

기구한 운명의 여자 신세야 나같은 이 또 있을까?

아마도 내 임의 탓으로 살 듯 말 듯하구나.

 

-허난설헌, 「규원가」


한글 해설본을 읽어보면 화자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은 남편'을 원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화자가 남편을 원망하는 이유는 기생집으로 나가 돌아오지 않고 행방을 알 수 없다는 것인데요. 기약 없는 기다림 속에서 화자가 자신의 심정을 어떻게 노래하는지 지금부터 풀이를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규원가의 시작은 화자의 한탄으로 시작합니다. 엊그제 젊었더니 어찌 벌써 늙어 버렸는가?라고 말이죠. 이미 화자는 시집온지 오랜 시간이 지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후 화자의 지난 날은 어땠는지 나타나는데요.

부모님이 고생하며 기르면서 높은 벼슬아치의 배필은 못되도 군자의 짝이 되기를 바랬는데 화자는 그만 호탕하면서 경박한 사람(남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깔려있습니다)에게 시집을 가서 살얼음 디디듯이 조심스럽게 지내왔습니다.

그러던 중 열다섯 열여섯을 지나 타고난 고운 모습이 나타나 이 얼굴과 이 태도로 평생을 약속하며 행복할 듯 했지만 세월이 빨리 흐르고 조물주가 시기하여 지금의 얼굴은 아름답지 않고 미게 되어버린 것이죠. 그래서 화자는 자신이 보기에도 얼굴이 밉게되었으니 어느 임이 나를 사랑할 것이냐며 자책합니다. 남편을 원망하지 않고 자신을 탓하는 숙명론적 사고간을 여기서 보여줍니다.

임에 대한 원망과 애달픈 심정을 노래한 부분입니다. 화자는 남편이 돌아오지 않는 이유로 기생집에 새 기생이 나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남편에 대한 괴로움과 원망을 드러냅니다. 그러나 이렇게 원망하지만 남편을 그리워하기도 하죠.

이러한 자신의 외로운 처리를 열두 때, 설흔 날 등 숫자로 표현하고, 옥창의 심은 매화 몃 번이나 픠여 지었는고라는 표현을 통해 남편을 기다리는 시간이 아주 길다는 것을 표현하며 봄이 되어 아름다운 풍경이 와도 님이 없으면 소용없을을 말합니다. 그리고 가을의 귀뚜라미에 감정이입을 하며 자신의 슬픔을 표현합니다.

슬퍼하던 화자는 이렇게 살아 어찌하리 라고 생각하면서 거문고를 타면서 시름과 비애, 외로움과 한을 달래려고 합니다. 그러나 화자가 치는 거문고 소리에는 처량하고 슬픔이 묻어있고 이 소리는 적막한 방안에 울려서 더 적망하게 하며 화자의 마음을 끓게 합니다.

화자는 안되겠다 싶어 '꿈'에서라도 님을 보려고 합니다. 많은 가사에서 그렇 듯 여기서도 꿈은 '절망적 현실에 대한 심리적 보상의 공간이며, 임과의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물'입니다. 그러나 떨어지는 나뭇잎과 우는 벌레가 잠을 못자게 하여 '꿈'에서 임을 보는 것도 실패하게 되죠.

그래서 화자는 견우직녀도 일녕에 한번은 만나는데 자신은 님과 소식이 끊겼음을 서러워하며 난간에 기대서 임계신 곳을 바라보지만 새 소리만 서러울 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화자는 자신의 기구한 운명을 한탄하며(박명한 홍안이야~) 당대 여인들의 공통된 운명을 드러내어 공감대를 형성하고, 기약없어 만날 수 없는 무정한 일을 기다릴 수 밖에 없는 기구한 운명을 탄식(아마도~)하며 작품을 마무리합니다.

 

이렇게 하여 '규원가'에서는 '유교사회에서 겪는 부녀자의 한과 떠나버린 남편에 대한 그리움과 원망'을 드러내고 있으며. 자연물을 이용한 비유, 감정이입, 시간관련된 표현, 계절 및 정서 묘사, 대구법, 대조법, 은유법등의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해 주제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작품을 다시한번 보며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