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 다룰 시의 제목은 '백화(白樺)'입니다. 백화는 자작나무라는 뜻으로 자작나무는 주로 한대 지방에서 자라며 껍질이 흰 빛을 띄기 때문에 뭔가 신비한 느낌을 주는데요. 시인은 이 백화, 즉 자작나무를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며 시를 읽은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다
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산(山)도 자작나무다
그 맛있는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다
그리고 감로(甘露)같이 단 샘이 솟는 박우물도 자작나무다
산(山) 너머는 평안도(平安道) 땅도 보인다는 이 산(山)골은 온통 자작나무다.
-백석, 「백화(白樺)」
짦은 이 시를 보면 1행부터 4행까지 ~도 자작나무다라는 구조가 반복되며 반주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산 속 사람들의 모든 생활의 요소 - 집(대들보, 기둥, 문살), 정신적 요소(여우가 우는 산-전설 설화와 관련), 음식(메밀국수), 물(박우물) - 가 모두 자작나무에 둘러쌓여져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마지막 5행에서 이를 집약해 이 산골이 모두 자작나무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 시는 자작나무 특유의 이미지(하얀색 나무가 주는 순수함과 깨끗함, 탈속적인 이미지)를 이용해 자작나무로 둘로싸인 산과 그 속에 살아가는 산골사람들의 소박한 삶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산 골의 이미지는 '산 너머는 평안도 땅', 즉 화자의 고향과도 연관되어 화자가 보고 싶은 화자의 고향의 모습으로 연결되기도 합니다.(이를 통해 화자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간접적으로 나타기도 합니다)
해석을 읽었으면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월 - 김영랑,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8.07 |
---|---|
사랑하는 까닭 - 한용운,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2) | 2024.08.06 |
청산행 - 이기철,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1) | 2024.06.07 |
저수지 - 권정우,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6.07 |
꽃피는 시절 - 이성복,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1)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