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늘 다룰 시의 제목은 '하단에서'입니다. 이 시에서 화자는 자연을 이용하여 인간의 삶에 대한 인식을 드러냅니다. 화자가 어떻게 자연을 이용하여 삶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지 생각하며 시를 감상하고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갈밭 속을 간다.

젊은 시인과 함께

가노라면

나는 혼자였다.

누구나 갈밭 속에서는 일쑤

동행을 잃기 마련이었다.

성형(成兄)

성형(成兄)

아무리 그를 불러도

나의 음성은

내면으로 되돌아오고,

이미 나는

갈대 안에 있었다.

바람이 부는 것도 아닌데

갈밭은

어석어석 흔들린다.

갈잎에는 갈잎의 바람

백발에는 백발의 바람.

젊은 시인은

저편 강기슭에서 나를 부른다.

하지만 이미

나는 응답할 수 없다.

나의 음성은

내면으로 되돌아오고

어쩔 수 없이 나도

흔들리고 있었다.

 

-박목월, 「하단에서」


시에서 화자는 자연물의 움직임(갈대의 흔들림)을 통해 불안한 내면을 구체화합니다. 갈밭 속에서 어느새 혼자되어 소통이 단절된 상황에서 고독감을 느끼며 불안해 하는 내면을 갈대의 흔들림으로 형상화하여 구체화한 것이죠.

 

그렇다면 화자는 이러한 소통의 단절과 고독감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화자는 이를 이간의 근원적 정소로 보편화하면서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자의 인식을 시의 내용과 관련하여 지금부터 살펴보도록 합시다.

 

화자는 젊은 시인과 함께 갈밭속을 갑니다. 가다보면 어느새 화자는 혼자가 되는데 이는 소통이 단절된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상황에서 화자는 '누구나 갈밭 속에서 일쑤 동행을 잃기 마련이다'라며 자신의 상황을 보편화하여 인식합니다.

 

그리고 젊은 시인의 이름을 불러보지만 자신의 음성은 내면으로 돌아옵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없는 상황을 보여줍니다.(이는 후반부에 다시 한번 반복되어 의미를 강조합니다) 이런 내면의 고독함을 화자는 이제 갈대가 흔들리는 모습을 통해 형상화하여 표현합니다.

 

그리고 강기슭 너머에서 젊은 시인이 자신을 부르지만 자신의 음성이 내면으로 돌아와 응답할 수 없는 자신의 모습을 생각하며 '어쩔 수 없이 나도 흔들리고 있었다'고 시를 마무리합니다. 여기서 '어쩔 수 없이'를 통해 결국 소통이 단절된 상태에서 느끼는 외로움과 내적 고독은 어쩔 수 없는 인간의 근원적 정서로 느끼며 이를 그저 받아들이는 화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는 '인간의 근원적인 정서인 내적인 고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