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 시간에 다룰 시의 제목은 '극빈'입니다. '극빈'이란 사전적 의미로 '몸시 가난함'을 뜻하는데요. 시를 읽으며 화자는 어떠한 상황에 처해있고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중심을 두고 감상해보도록 합시다.


열무를 심어놓고 게을러

뿌리를 놓치고 줄기를 놓치고

가까스로 꽃을 얻었다 공중에

흰 열무꽃이 파다하다

채소밭에 꽃밭을 가꾸었느냐

사람들은 묻고 나는 망설이는데

그 문답 끝에 나비 하나가

나비가 데려온 또 하나의 나비가

흰 열무꽃잎 같은 나비 떼가

흰 열무꽃에 내려앉는 것이었다

가녀린 발을 딛고

3초씩 5초씩 짧게짧게 혹은

그네들에겐 보다 느슨한 시간 동안

날개를 접고 바람을 잠재우고

편편하게 앉아 있는 것이었다

설핏설핏 선잠이 드는 것만 같았다

발 딛고 쉬라고 내줄 곳이

선잠 들라고 내준 무릎이

살아오는 동안 나에겐 없었다

내 열무밭은 꽃밭이지만

나는 비로소 나비에게 꽃마저 잃었다

 

-문태준, 「극빈」


네. 화자는 지금 '몹시 가난한' 상태에 처해있을까요?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의 제목을 '극빈'이라고 할 정도로 이 상황을 강조하며 괴로워하고 있을까요? 그건 그렇지 않습니다.

 

화자는 농사를 짖는 사람입니다. 열무농사를 짖고 있지요. 그런데 농작물 관리를 잘 하지 못해서 꽃을 얻게 됩니다.(이는 수확시기를 놓친 것을 의미합니다. 떄문에 이 열무꽃은 희고 곱긴해도 화자에겐 아무런 쓸모도 없는 존재죠) 주변 사람들은 묻습니다. '채소밭에 꽃밭을 가꾸냐고'...이건 한번 맥이는 거죠. '농사=작물로 인한 이익'이라고 생각하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인식으로는 작물을 수확할 시기를 놓치고 꽃피우도록 관리한 화자가 이상해 보일 수 밖에 없으니까요. 화자도 여기에 대답못하는 걸로 봐서는 자신이 게으른 면이 있음을 어느정도 생각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다음 나비떼들이 화자의 인식을 바꿔 줍니다. 3~5초간의 짧은 시간이지만 그네들에겐 느슨한 시간으로 흘려보이며 열무꽃에 앉아 쉬어가는 나비떼의 모습에서 화자는 타인을 배려하는 삶의 태도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 인식을 전환하게 되죠. 화자에게는 무용한 대상과 짧은 시간이 '나비 떼'에게는 편안한 휴식의 시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본 화자는 자신의 인생에서 ‘발 딛고 쉬라고 내줄 곳’과 ‘선잠 들라고 내준 무릎’이 없었음에 대한 성찰하게 됩니다. 그리고 꽃밭을 나비떼의 쉼터로 제공하며 이를 꽃마져도 잃었다 라고 표현해 다른 대상을 배려하는 삶에서 느끼는 성취감을 반어적으로 표현하며 시를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 시는 열무꽃과 흰나비를 통해 '타인을 배려하는 삶의 태도에 대한 깨달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