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작품은 '속리산에서'입니다. 제목 그대로 이 작품은 '속리산'을 오르며 느낀 삶의 태도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요. 화자가 느낀 삶의 태도가 어떤 것인지를 생각하며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가파른 비탈만이
순결한 싸움터라고 여겨온 나에게
속리산은 순하디순한 길을 열어 보였다
산다는 일은
더 높이 오르는 게 아니라
더 깊이 들어가는 것이라는 듯
평평한 길은 가도 가도 제자리 같았다
아직 높이에 대한 선망을 가진 나에게
세속을 벗어나도
세속의 습관은 남아있는 나에게
산은 어깨를 낮추며 이렇게 속삭였다
산을 오르고 있지만
내가 넘는 건 정작 산이 아니라
산 속에 갇힌 시간일 거라고,
오히려 산 아래서 밥을 끓여 먹고 살던
그 하루하루가
더 가파른 고비였을 거라고,
속리산은
단숨에 오를 수도 있는 높이를
길게 길게 늘여서 내 앞에 펼쳐주었다.
-나희덕, 「속리산에서」
시의 처음에서 화자의 기존의 인식이 드러납니다. '가파른 비탈만이 순결한 싸움터라고 여기는' 그런 화자의 태도는 경쟁이 당연한 경쟁해서 앞장서서 나가는 것이 당연한 그런 삶을 살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나'에게 속리산은 새로운 삶의 자세를 알려줍니다. 경쟁하면서 사는 것이 아니라 순하디순한 길 즉, 주변을 둘러보며 천천히 살아가는 자세를 말이죠. 이렇게 해서 이 시는 속리산을 의인화해서 경쟁하지 않고 주변을 둘러보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삶의 자세를 말해줍니다. 아직도 경쟁하는 삶의 태도를 버리지 못한 화자지만 산은 어깨를 낮추며 계속해서 속삭여줍니다.
"더 높이 오르는 삶보다 더 깊이 들어가는 삶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말이죠.
이렇게 이 시는 산을 의인화해서 "스스로의 삶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하고 주변을 둘려보며 천천히 살아가는 자세"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신석정,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1) | 2024.09.20 |
---|---|
살얼음 아래 같은 데 2 - 생가(生家) - 문태준, 해석/해설/분석/정리 (1) | 2024.09.05 |
주머니 속의 바다 - 정일근,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9.04 |
달밤 - 황동규,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9.04 |
위로 - 윤동주,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1)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