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다룰 시는 '크낙산의 마을'입니다. 이 시는 화자가 마음이 무거운 현실에서 이를 벗어나기 위해 집을 떠나 산에서 경험을 하며 처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화자가 겪는 산의 모습에 주목하며 시를 읽고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다시 태어날 수 없어
마음이 무거운 날은
편안한 집을 떠나
산으로 간다
크낙산 마루턱에 올라서면
세상은 온통 제멋대로
널려진 바위와 우거진 수풀
너울대는 굴참나뭇잎 사이로
삵괭이 한 마리 지나가고
썩은 나무 등걸 위에서
햇볕 쪼이는 도마뱀
땅과 하늘을 집삼아
몸만 가지고 넉넉히 살아가는
저 숱한 나무와 짐승들
해마다 죽고 다시 태어나는
꽃과 벌레들이 부러워
호기롭게 야호 외쳐 보지만
산에는 주인이 없어
나그네 목소리만 되돌아올 뿐
높은 봉우리에 올라가도
깊은 골짜기에 내려가도
산에는 아무런 중심이 없어
어디서나 멧새들 지저귀는 소리
여울에 섞여 흘러가고
짙푸른 숲의 냄새
서늘하게 피어오른다
나뭇가지에 사뿐히 내려앉을 수 없고
바위 틈에 엎드려 잠잘 수 없고
낙엽과 함께 썩어 버릴 수 없어
산에서 살고 싶은 마음
남겨둔 채 떠난다 그리고
크낙산에서 돌아온 날은
이름없는 작은 산이 되어
집에서 마을에서
다시 태어난다
-김광규, 「크낙산의 마음」
처음에 화자가 산으로 가는 계기가 드러납니다. '다시 태어날 수 없어 마음이 무겁운 날'이게 바로 화자가 산으로 떠나는 계기입니다. 그래서 화자는 크낙산 마루턱에 올라가 다양한 대상들의 모습을 인식합니다. 이 때 인식하는 대상들은 자유롭게 어우러져 자연적 삶을 살아가고 있는 산 속의 짐승들로 자유롭게 어우려져 자연적 삶을 살아가고 있는 대상들입니다. 화자는 이들이 부러워 야호 외쳐보지만 산에는 주인이 없어 자유롭기에 그 목소리는 되돌아오고 아무런 중심이 없이 평등해 모든 것들이 섞여 어우러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화자는 산의 모습을 보며 많은 걸 느끼지만 자신은 자연과 오나전하게 동화될 수 없기에 산에서 살고 둔 마음을 남겨둔 채 다시 현실로 돌아옵니다. 현실에 돌아왔지만 자연 속에서 산의 기운을 받은 상태이기에 화자는 이름없는 작은 산이 되어 다시 태어남으로서 처음의 문제를 해결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이 시는 현실에서 고민을 안고 있는 화자가 산에 가서 자연의 모습을 보며 현실의 고민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가 - 이육사,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5.31 |
---|---|
감자 먹는 사람들 - 김선우,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5.22 |
묘망 - 조지훈,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5.10 |
장자를 빌려 - 원통에서, 신경림 -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4.26 |
오라, 이 강변으로 - 홍윤숙,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