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다룰 시 '귀촉도'에서는 귀촉도 설화(중국 촉나라의 망제가 나라에서 쫗겨난 후 촉나라를 그리워하다 죽어서 새가 두견새라는 이야기)에서 느낄 수 있는 '한'의 정서와 연관시켜 사랑하는 임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임과 이별한 상황에서 화자가 자신의 정서를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며 시를 감상한 후에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눈물 아롱아롱

피리 불고 가신 님의 밟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서역(西域) 삼만 리.

흰 옷깃 여며 여며 가옵신 님의

다시 오진 못하는 파촉(巴蜀) 삼만 리.

 

신이나 삼아 줄걸 슬픈 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육날 메투리.

은장도 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없는 이 머리털 엮어 드릴걸.

 

초롱에 불빛, 지친 밤하늘

굽이굽이 은핫물 목이 젖은 새,

차마 아니 솟는 가락 눈이 감겨서

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님아.

 

-서정주, 「귀촉도」


1연은 화자의 눈물로 시작합니다. 화자가 눈물을 흘린다는 것은 슬픔의 정서를 느낀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바로 제시됩니다. 바로 임이 죽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화자는 슬픔을 느끼고 임이 먼곳(저승)으로 가버린 것을 파촉(귀촉도 설화와 연관 - 중국 촉나라 지방) 삼만리로 표현하며 임과의 거리감을 느끼는 것으로 표현하며 슬픔을 노래합니다.

 

2연에서는 임이 죽은 뒤 느끼는 후회와 탄식이 드러납니다. 아무리 잘해줬어도 떠난 후엔 아쉬움이 남는 법. 먼길(저승길)을 떠나는 임이 신고갈 신도 하나 못해준 마음에 화자는 은장도로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서 신을 엮어라도 드릴걸이라는 후회를 하며 죽은 임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려고 합니다. 여기서 육날 메투리나 은장도는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을 보여주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연에서는 귀촉도에 감정이입을 하여 임이 죽은 것에 대한 슬픔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임에 대한 슬픔과 기다림과 슬픔을 감정이입을 통해 강조하며 시를 마무리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렇게 하여 이 시는 '임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과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시구의 의미와 표현법을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320x100

+ Recent posts